목록코로나19 (11)
hanyuku

안녕하세요 한어고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코로나19 여파로 개학이 계속 연기되고 있는 상황이지요~ 중국에서도 현재 개학 연기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인데, 4월 7일부터 13일까지 제한적으로 고3 및 중3 학생들은 개학을 한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다른 학년 학생들은 계속 개학이 연기되고 있는데요, 이에 따른 부작용을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합니다. 중국의 상황은 어떠한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4월이 다가온다는 것은 대다수의 학교들의 개학일이 점차 가까워져 온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4월 7일부터 13일까지 중국의 여러 성(省)의 중3과 고3 수험생들이 개학할 수 있게 됩니다. 같은 개학일이지만, 이날의 의미는 각별하다고 합니다. 이 기간 동안의 인터넷 강의를 통해, 많은 학생들은 학교에서 공부할 수 있는 날..

안녕하세요 한어고입니다^^ 최근 코로나19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 등이 이어지고,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은 선별진료소에 신고하고 자가격리를 통해 자신과 타인까지 위하자는 코로나19 예방 수칙도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미국에 거주중인 한 중국인 여성이 회의에 참석했다가 그 곳에 함께 있던 한 동료가 코로나19에 확진을 받자 자신도 의심증상이 나타나서 핵산검사를 받으려고 했지만, 검사를 받기위한 증상에 못 미친다는 소견으로 검사를 받지 못하였다고 합니다. 그러자 그녀는 중국으로 귀국하여 코로나19 검사를 받았고, 결국 확진으로 판명나서 그녀와 함께 비행기에 동승했던 사람들 모두가 격리되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이에 대해 중국의 언론에서 비난의 소리가 이어지는데요, 관련 중국..

안녕하세요 한어고입니다^^ 최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베이징의 중국 군사의학연구원을 방문하여 연구진을 격려하고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의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을 주문하면서, 이와 함께 코로나19의 근원과 전파 경로를 연구할 것을 지시했습니다. (관련기사:https://v.kakao.com/v/20200315225354763) 시진핑, 코로나19 발원지 규명 지시.."책임 회피 구실 모색" [서울=뉴시스]이재준 기자 = 중국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은 후베이성 우한(武漢)을 진원지로 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실제로 어디에서 발원해 어디로 전파했는지를 철저히 규명하라"고 지시했다고 신화망(新華網) 등이 15일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시진핑 국가주석 겸 당 총서기는..

안녕하세요 한어고입니다^^ 우리나라는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개학이 3월 마지막주로 연기되었는데요, 중국의 상황은 어떨까요? 중국도 개학시기가 늦춰지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중국은 2월 20일 이후, 공장들의 조업 재개가 점차 본궤도에 올랐습니다. 그러나 이때도 아직 학생들의 개학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이었는데요, 중간고사와 대학수학능력시험이 가까워지면서 자녀들이 집에서 학습 의욕이 높지 않고 학습 효율이 떨어진다는 학부모들의 반응이 적지 않습니다. 많은 학생들이 인터넷 강의를 듣는게 힘들어 눈도 못뜨고, 현장에서 수업하지 않으니 무기력하다는 학생들도 있는데요, 많은 학부모와 학생들의 불평 속에서 각 성시의 개학시기와 관련하여 다시금 새로운 소식을 맞고 있습니다. 2월 말, 이미 현재 중국 내몰고, 광..

안녕하세요, 한어고입니다^^ 최근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첫 환자 발생지인 중국에서 최근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출처가 미국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과연 진실은 무엇일까요? 우리는 어떻게 판단해야 될까요? 올바른 판단을 위해서는 여러 자료들을 객관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결정해야 하는데요, 한어고에서는 논란이 되는 중국측의 기사 내용을 소개해볼테니 판단은 여러분 각자의 몫으로 남겨두겠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조류독감, 아프리카 나이지리아에서 발생한 라샤열 바이러스, 미국의 B형 독감 등 올해는 전 세계가 각종 다양한 바이러스로 몸살을 앓고 있는 해다. 이 중 가장 전파 범위가 넓고 전파성이 강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이하 코로나19 바이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