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중국역사 (13)
hanyuku

안녕하세요 한어고입니다^^ 원(元)나라는 몽골이 가장 크게 발달한 시기로, 영토가 아시아와 유럽대륙까지 뻗어나가 당시 많은 나라들을 공포에 떨게 했습니다. 역사를 연구하는 전문가들 사이에선 당시 몽골군이 이처럼 넓은 영토를 점령해 눈부신 전적을 거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며, 이는 몽골인들의 일상이 군사화된 생활습관과도 무관하지 않다고 보았습니다. 베이징대 역사학과 중국고대사교연실(中国古代史教研室) 주임 장판(张帆)과 중국사회과학원(中国社会科学院) 부연구원 리밍페이(李鸣飞)는 텅쉰서원(腾讯书院) 특강에서 몽골군이 왜 전투 능력이 강했는지 설명해주었습니다. 원나라의 창시자 칭기즈칸은 중국 역사상 가장 강력한 통치자로, 그의 일생에는 전기적 색채가 풍부합니다. 칭기즈칸은 어린 시절 부족과 다른 강자들에게 괴..

안녕하세요 한어고입니다^^ 제갈량은 거의 모르는 사람이 없지요. 유비가 삼고초려를 하고 나서야 비로소 산을 나와 유비를 도왔던 제갈량의 활약상을 보면, 얼마나 제갈량의 기교가 대단하고 지능이 뛰어난 사람인지 알 수 있습니다. 고대 중국 사람들은 두 발이 땅에서 떨어져 있으면 나쁜 병균도 떨어져 있다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래서 옛날에 두 사람이 싸울 때, 휠체어를 타고 다녔다고 합니다. 그중 하나가 쑨빈(孙膑)인데, 다만 그는 두 다리에 장애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쑨빈은 춘추전국시대 유명한 군사가였는데, 그의 사부는 꾸이구(鬼谷)로서, 쑨빈과 사부가 비슷한 시기에 산에서 산을 나왔습니다. 산을 나온 뒤, 제자들에게 몸을 의탁했는데, 왜냐하면 그가 생각하기에 자신의 제자들과 함께 일하면 좋을 것이라는 ..

안녕하세요 한어고입니다^^ 고대 중원에는 사자가 없었지만, 사자 석상은 중국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고대 중국에서는 불교의 영향으로 사자의 의미가 매우 좋았기 때문에, 고궁이나 절 문이나 능묘 옆 등에 사자 석상이 놓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화적 영향은 현재까지도 이어져 호텔이나 은행 입구에도 사자 석상이 놓여 있는 것을 볼 수 있곤 합니다. 사자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암수가 다른 외형을 가진 고양이과 동물로, 중국의 옛 명칭은 '산예(狻猊 suān ní)'라고도 합니다. 사자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살고 있는 대형 고양이과 동물이며, 과학자들의 추산으로 약 12만 4천여 마리가 아프리카 동부와 남부에, 약 2만 1천여 마리는 아시아나 인도 등에 분포해있습니다. 사자 석상이 중국에 처음으..

안녕하세요 한어고입니다^^ 중국의 사극에서 '은화(银子)'를 많이 들을 수 있는데요, 은화는 고대 중국 사회에서 화폐의 일종으로 사용되었고, 특히 당송 이후 왕조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습니다. 은화는 고대 중국의 화폐의 일종으로서 대체불가능한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요, 왕조가 어떻게 바뀌든 간에 은화의 가치와 역할은 항상 존재하였습니다. 현대인들은 영화와 각종 작품들에서 옛 사람들이 은화로 물건을 사는 장면을 자주 보았을 것입니다. 은화는 동전보다 훨씬 큰 가치가 있는 화폐로서 사용되었습니다. 이쯤되면, 은화 한 냥에 동전 몇 개를 바꿀 수 있는지 궁금해하실 분들도 많을 것이라 생각되네요. 만약 은화 한 냥을 오늘날 화폐로 교환한다면 얼마만큼의 가치의 위안화로 바꿀 수 있을까요? 사실, 은화 한 냥은 세대..

안녕하세요 한어고입니다^^ "匈奴未灭,何以家为(흉노가 아직 사라지지 않았는데, 어찌 집을 위할 수 있겠는가)" 이 말은 한무제 때 흉노와 맞서 싸운 영웅 곽거병(霍去病)이 했던 호언장담이라고 합니다. 이 말에서 알 수 있듯이 흉노족은 한나라 왕조때의 골칫거리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 역사에서 흉노족은 골칫거리일 뿐만 아니라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 진나라 초기부터 흉노족에 대한 이야기가 흘러나왔었는데, 그들은 북방의 유목민족으로 중원의 정권을 괴롭혀왔습니다. 진시황 때는 북쪽으로 장성을 쌓아 흉노족을 막았고, 한나라 때에는 흉노족과의 화친을 통해 침략의 고통을 어느정도 완화시켰습니다. 한무제 때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흉노족을 패배시킬 수 있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세 왕조는..

안녕하세요 한어고입니다^^ 1912년에 청나라가 멸망했던 것은 역사의 흐름에서 볼 때 필연적인 것이었지만, 그 과정을 지켜보는 사람들의 마음은 무거울 수 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청나라의 멸망을 돌이켜보면, 그 과정에서 반드시 자희태후(慈禧太后)를 거쳐갈 수 밖에 없는데요, 예허(叶赫)의 수령이었던 김태길(金台吉)이 말했던 것처럼 그녀는 청나라 멸망의 저주를 불러일으킨 사람이었습니다. 왜냐하면, 그녀가 조정을 손에 넣은 48년 동안 황실의 세력이 시들해졌기 때문입니다. 먼저, 함풍제(咸丰帝)는 빈비(嫔妃)가 많았지만 아들 동치(同治) 하나밖에 얻지 못했습니다. 원래 함풍제 이전의 황제들은 모두 자손이 많았는데, 그의 아버지 도광황제만 보아도 19명의 자녀를 두었던 것에 비하면 함풍제 대에는 유달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