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yuku
인구대국 중국에서 제조업 공장들의 구인난? 본문
안녕하세요 한어고입니다^^
중국 경제가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과학 기술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데요, 예를 들면 예전에는 많은 방직 공장에서 수많은 노동자들이 일을 해야 했지만, 지금은 이미 많은 방직 공장들이 스마트 공장으로 변하기 시작한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원래 한 작업장에 100명 정도 필요했던 일을 2~3명이면 해낼 수 있게 되었죠. 현재 이렇게 과학 기술이 발전하고 있고, 미래에는 인류의 노동 역할이 인공지능으로 대체될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수년간 중국 경제의 빠른 발전은 줄곧 엄청난 인구 보너스에 의존해 왔고, 인구가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노동력이 많습니다. 그리고 세계에서 중국은 제1의 인구 대국으로서, 매우 쉽게 취업난 문제를 맞닥뜨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일찍이 몇년 간 중국 대학생들은 "졸업은 곧 실업이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취업난을 겪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오늘날은 크게 상반되어 취업난 문제가 오히려 구인난이나 고용난만큼 크지 않다고 합니다.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오늘날 스마트 시대가 도래하여 원래 많은 인력이 필요했던 자리를 기계가 대신하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제조업은 노동력이 집중되는 산업이지만,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공지능이 인간의 업무를 대체하기 시작했죠. 지금도 많은 제조 공장들은 월말쯤이면 퇴사하는 사람들이 줄을 서는 것을 종종 목격할 수 있다는데요, 도대체 무슨 이유에서 그런 걸까요?
현재 중국 제조업이 맞닥뜨리고 있는 어려움에 대해 저명한 사업가 차오더왕(曹德旺) 선생은 이런 말을 하였습니다. 제조업의 현주소는 젊은이들이 직면한 현주소이다." 이건 대체 무슨 뜻일까요? 이는 바로 요즘 중국 젊은이들이 공장에서 일하는 것을 꺼리고, 배달, 택배 일을 많이 한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요즘 중국 공장들은 젊은 노동자를 구하지 못해 인력난을 겪고 있다는 것이죠.
도대체 왜 공장에 들어가려는 젊은이들이 없는 걸까요? 결론적으로 말하면, 임금이 너무 낮기 때문입니다. 중국은 저렴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었는데요, 이 때문에 많은 공장들의 기본급은 매우 낮습니다. 만약 공장에서 한 달에 8000위안의 임금을 받을 수 있다면, 그리고 매일 잔업을 할 필요도 없고 사무직과 마찬가지로 하루에 8시간 일을 한다면 어떨까요? 아마 당장 내일부터 공장에 들어오겠다는 사람들이 몇 십리씩 줄을 서게 될 것입니다. 어느 누가 안정적이고, 급여도 낮지 않고, 복리후생도 나쁘지 않은 일자리를 마다할까요? 어느 누가 매일 여기저기 뛰어다니길 원할까요?
하지만 이런 일들은 소설에만 나올 뿐, 현실에는 없습니다. 대부분 공장들은 각종 야근과 잔업, 심지어 매일 야근하는것도 일상이고 한 달 중 하루도 쉬는 날이 없는 곳도 있습니다. 그래도 한달 월급이 4~5천 위안일 뿐이니, 차라리 택배나 배달을 가는 것이 훨씬 낫다고 합니다.
소위 말하는 공장의 고임금이라는 것은 사실 우스갯소리라고 합니다. 많은 공장주들이 구인난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임금을 5천~1만, 고급 공장은 6천~1만 위안으로 쓰고는 있지만, 막상 와보면 사실 노동자가 가져갈 수 있는 것은 제일 낮은 급여이고, 제일 높은 급여는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대체 왜 일반 근로자들의 임금은 높지 않은 것일까요? 대개는 가치 창출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인력 수요가 많지만 창출 가치가 낮고, 시장에서 같은 직종에 임금을 따지지만, 일반적으로 일자리 내용은 똑같기 때문에 누가 와도 기계적인 일을 하는 일자리일 뿐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것은 말할 것도 없지만, 오늘날의 공장들은 대부분 숙련된 일을 할 수 있습니다. 사장에게 있어선 당신이 할 수 있는 일은 다른 사람도 할 수 있는 것이고, 당신은 문제를 생각할 필요도 없고 단지 기계적인 완성만 하면 되는 것이죠. 하지만 많은 젊은이들에게 있어서 계속 같은 일을 반복하는 것은 짜증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오래지 않아 공장을 떠나게 되는 것입니다.
특히 어떤 공장에서는 전표(单子)를 받으면 연장근로를 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다른 곳을 제쳐놓고라도, 애플의 공장인 폭스콘은 아이폰이 출시될 때마다 연장근무를 합니다. 거의 3교대 혹은 2교대 근무를 하는데요, 이 때문에 많은 노동자들이 10시간 이상 일하고, 월급은 적게 받으며, 또 잔업을 합니다. 그래서 공장을 결국 떠나게 되는 것이죠.
또한 제조업 공장에서는 인건비를 20%이내로 억제하고, 초과 시에는 인원 감축이나 임금 삭감을 하기도 합니다. 이 때문에 나중에 많은 공장들이 다시 사람을 모집했지만, 아무도 선뜻 오지 않았습니다.
지금은 많은 제조업자들이 사람을 뽑을 때 요구하는 것은 많지만, 정작 기술자는 얼마 되지 않아 구인난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직원들을 제대로 대우하지 않으면 언젠가는 다 떠나고 '인터넷 공장'같은 기업만 될게 분명하겠죠. 그러니 좋은 인력을 유치하기 위해선 적절한 투자와 보상이 필요한 셈입니다.
<참고기사>
14亿人的中国,很多地方却出现了“用工荒”的问题?工人去哪了?
随着我国经济的快速发展,而科技也在快速发展着,比如以前很多纺织厂都是要很多工人来干活,而如今很多纺织厂都已经开始变成智能工厂了,原来一个车间的百十来号人,如今却只需要2-3个
mbd.baidu.com
'China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장시성 약혼녀 살해사건 이야기 (0) | 2021.08.19 |
---|---|
부채없이 순자산 천억 위안의 재력가 황추룽(黄楚龙)의 인생스토리 (0) | 2021.08.18 |
1990년대 중국의 흉악범 펑먀오지(彭妙计) 이야기 (0) | 2021.08.16 |
중국 신양시 황촨현의 23세 "주여랑(酒女郎)", 왕쯔루이(王子瑞)의 인생 스토리 (0) | 2021.08.13 |
중국에서 투자 업계의 철의 여인, 쉬신(徐新)의 인생스토리 (0) | 2021.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