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yuku

중국의 차(茶)문화 이야기 #3 - 우롱차 본문

Chinese Food

중국의 차(茶)문화 이야기 #3 - 우롱차

hanyuku 2020. 1. 20. 11:50

 

안녕하세요 한어고입니다^^

 

 

중국의 차 문화 이야기에서 지난번에는 녹차와 홍차에 관하여 다루었는데,

오늘은 우롱차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롱차(乌龙茶 wūlóngchá)는 중국 남부의 복건성과 광동성, 그리고 타이완에서만 생산되고 있는 중국 고유의 차입니다. 녹차와 홍차의 중간정도인데요, 발효 정도가 80%이상인 홍차보다는 낮은 정도의 발효도로 약 30~70% 사이의 반(半)발효차를 우롱차라고 부릅니다. 찻물의 색깔에 따라서 청차(青茶 qīngchá, Blue Tea)라고도 부릅니다. 반 발효차로서 녹차와 홍차의 중간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는 우롱차는 녹차의 신선한 맛과 홍차의 진한 맛을 모두 가지고 있는 차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롱차는 찻잎의 중간은 녹색이며 테두리는 발효를 거치며 산화되는 과정을 겪었기 때문에 붉은 빛을 띠는데요, 우롱차는 6대 차 종류(녹차, 백차, 황차, 우롱차, 홍차, 흑차) 중 가장 복잡한 공정과정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청공정(青工)이 우롱차의 품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공정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우롱차는 차를 우리는 과정 또한 여러가지가 있고, 많이 연구되고 있기 때문에 우롱차를 마시는 것은 공부차(功夫茶)를 마시는 것이라고 부르는 말이 있기도 합니다.

 

 

원래는 중국 대륙에서만 만들어졌으나, 1890년경 부터는 타이완에서도 생산하게 되었습니다. 우롱차는 찻잎의 빛깔이 까마귀같이 검으며, 모양이 용처럼 구부러진데서 연유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우롱차는 발효 정도가 약 30~70%에 해당하는 만큼 스펙트럼이 넓기 때문에 그 종류만도 수 백가지라고 합니다. 그 중 다음과 같은 종류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철관음: 복건성 안계현에서 주로 생산되는 이 차는 중국의 10대 명차의 반열에도 오를만큼 유명한 차라고 합니다. 철 처럼 무거워보이는 짙은 녹색의 찻잎이 둥글게 말려 있는데, 품질이 매우 우수하며 특유의 향과 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철관음은 상큼한 꽃 향기와 깊고 청량감이 도는 풀잎 향을 동시에 느낄 수 있고, 매우 부드럽고 감칠맛이 있으며, 매끄럽고 묵직한 바디감이 매력적이라고 하네요.

 

 

황금계: 복건성 안계현에서 주로 생산되는 차인데, 철관음보단 가벼운 맛과 향을 지니고 있다고 합니다.

 

 

 

모해: 복건성 안계현에서 주로 생산되며 철관음보다 발효도가 높아서 부드러운 맛과 향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본산: 복건성 안계현에서 주로 생산됩니다.

 

 

 

동정오룡: 대만 동정산에서 생산되는 차입니다. 대홍포, 철관음, 봉황단종과 함께 대표적인 우롱차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동정오룡은 약발효를 시켰기 때문에 은은한 꽃향기가 나며, 향기가 진하고, 강렬하며, 중후한 맛이 난다고 하네요. 외관은 차 잎은 진록색이면서 회백색의 반점이 섞여있고 둥글게 잘 뭉쳐져 있습니다.

 

 

 

 

대홍포: 복건성 무이산에서 생산되는 이 차는 비싼 가격으로 인해 중국에서는 귀한 손님을 대접할때 마시는 차로 이용된다고 합니다. 송나라 시대부터 무이산 암벽에서 자랐다고 전해지는 차 나무 6그루에서 생산되는 대홍포차는 현재까지도 살아남아 숭배되고 있는데 kg당 110만원을 웃도는 비싼 가격을 자랑합니다. 대홍포라는 이름은 명나라 왕후의 병을 치료한 데 대한 보답으로 황제가 차나무에게 붉은 비단 옷을 하사하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봉황단종: 광동성 조주시 봉황산에서 생산하는 차인데, 그 중 품질이 뛰어난 것을 봉황단종이라고 합니다. 송나라 때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했으며 생산량이 적고 비싼 편입니다. 찻잎은 약간 붉은 빛이 돌고 가늘고 긴데, 물에 우렸을때 찻물 색깔은 종류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주황색이 나며 밀란향 또는 황지향이 난다고 합니다.

 

 


 

우롱차는 치매를 유발하는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라는 성분이 우리 몸에서 활성화되는 것을 막아주고 억제해주어 치매 예방에도 효과적이며, 혈당을 낮추는 효능 때문에 당뇨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우롱차는 콜라겐을 분해하는 요소인 MMP-1의 생산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어서 주름을 예방하고 매끈한 피부를 가지는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토피성 피부염을 완화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보도되고 있다고 하니 우롱차를 꾸준히 마시면 아름다운 피부를 가꾸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우롱차에 있는 카테킨 성분과 약간의 카페인 덕분에 중성제방을 분해하여 건강한 다이어트도 가능하다고 하네요.

 

 

또한 우롱차의 폴리페놀 성분은 돌연변이 물질의 체내 활성화 대사과정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서 면역력을 높여주고 각종 암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또한 중국 연구팀에 의하면, 우롱차는 녹차, 우롱차, 홍차 중 가장 강한 항산화 작용을 하는 차가 우롱차이며, 혈액 내의 지방을 분해하여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는 등 혈관질환 예방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과유불급이라는 말이 있듯이 우롱차는 한 잔에 약 30mg의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는데요, 물론 커피보다는 훨씬 적은 수치이긴 하지만 성인의 하루 평균 카페인 권장량은 400mg이므로 적당히 마시는 편이 좋겠지요~^^

 


 

 

<참고 자료>

https://ko.wikipedia.org/wiki/%EC%9A%B0%EB%A1%B1%EC%B0%A8

 

우롱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롱차(중국어 간체자: 乌龙茶, 정체자: 烏龍茶, 병음: wūlóngchá 우룽차[*], 한자음: 오룡차)는 중국 대륙 남부의 푸젠 성과 광둥 성, 그리고 타이완에서만 생산되고 있는 중국 고유의 차이다. 녹차와 홍차의 중간으로 발효 정도가 30-70% 사이의 차를 말하며 반발효차로 분류된다. 색깔에 따라서 청차(중국어: 青茶, 병음: qīngchá 칭차[*], Blue Tea)라고도 불린다.[1] 원래는 중국 대륙에서만

ko.wikipedia.org

http://www.healthumer.com/news/articleView.html?idxno=2389

 

마시는 교양, 차(茶) 이야기 4(우롱차) - 헬스컨슈머

[헬스컨슈머]중세 유럽에서 동양의 신비라며 극찬한 그것, 시대의 교양인들이 사랑한 바로 그것, 바로 차(茶)다.차는 보통 가공 방법과 발효 상태에 따라 녹차, 백차, 황차, 우롱차, 홍차, 흑차로 나뉘어진다.요...

www.healthumer.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