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yuku

중국 경제를 이끌어가는 중국의 5대 부호 클럽은 어디? 본문

China news

중국 경제를 이끌어가는 중국의 5대 부호 클럽은 어디?

hanyuku 2021. 3. 19. 08:00

 

안녕하세요 한어고입니다^^

 

 

인맥은 비즈니스에서 의심할 여지 없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중국에서 비즈니스를 할 때 위험이 닥치면, 인맥이 있다면 많은 일을 잘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중국에서 개혁, 개방이 진행되는 동안 부자도 많이 늘어났고, 이들은 더 나은 발전을 위해 자신들의 인맥을 구축하였습니다. 그리고 상인들끼리 더 깊은 연계를 쌓고, 기업의 발전 계획을 논의하여 비즈니스가 잘 될수 있도록 도왔다고 합니다.

 

 

 

 

클럽 문화는 17세기 유럽 대륙에서 기원하였습니다. 당시 신사 클럽은 영국 상류 사회에서 일종의 민간 사교의 장으로 시작되었습니다. 그래서 영국 사회에서 한 사람이 유명 클럽의 회원 자격을 얼마나 많이 갖고 있는지는 그 사람의 사회적 지위를 반영하는 기준이었다고 합니다. 중국의 부자들도 이와 마찬가지라고 하는데요, 중국에는 5개의 부자 클럽이 있는데, 가입하기가 매우 어렵고, 어떤 것은 심지어 마윈이 빠져있는 곳도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이러한 중국의 부자 클럽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태산회(泰山会)

 

 

태산회는 1993년 산동(山东)성에서 설립되었는데, 중국내 민간 기업가들의 최상위 모임이며, 또한 대단히 단결력이 높은 민간 기업가들의 모임이기도 합니다. "태산회"라는 이름의 의미는 중국 민간 기업인들의 높이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이사회 의장은 세계 PC 1위인 레노보 그룹(联想集团) 설립자인 리우촨즈(柳传志)이며, 클럽 구성원들은 스위주, 궈광창, 돤잉지(史玉柱、郭广昌、段永基) 등이 있습니다. 멤버들은 2005년 16명으로 고정된 이후, 신규 회원을 모집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태산회는 중국에서 가장 유명하고 신비로운 최고의 클럽 중 하나가 되었다고 합니다.

 

 

 

 

 

 

2. 중국 기업가 클럽(中国企业家俱乐部)

 

 

중국 기업가 클럽은 2006년에 설립되었습니다. 멤버로는 리우촨즈, 니우건셩, 핑룬, 마윈, 리슈푸, 왕젠린(柳传志、牛根生、冯伦、马云、李书福、王健林) 등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2006년 12월에 설립되어 60 명의 이사들이 있는데, 이러한 이사들은 2011년 2조 달러의 총 수입을 올렸습니다. 당시 국유 기업 중 가장 큰 기업인 중국석유화공그룹(中石化)의 수입이 2.5조 달러로, 이는 중국 GDP의 5%에 달하는 상당한 금액입니다.

 

 

3. 화하동학회(华夏同学会)

 

 

화하 동문회는 2013년에 창립되었습니다. 이곳의 멤버로는 마윈, 마화텅, 리옌훙, 왕젠린, 궈광창(马云、马化腾、李彦宏、王健林、郭广昌) 등 저명한 기업인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에서 보기에, 화하 동문회는 언론에도 보도되지 않고, 비즈니스 활동에서 이용되지 않는 미스터리한 조직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화하 동문회는 사실 홍콩 공상학원(香港工商学院)의 후인들이 중국 유럽 국제 공상학원(中欧国际工商学院)의 동문들과 만나 자유롭게 조직한 동문회입니다.

 

 

 

 

 

 

4. 강남회(江南会)

 

 

강남회는 마윈을 위원장으로 하는데요, 주로 절강성의 기업가들을 대표하며, 딩레이, 천텐차오, 궈광창, 핑겅셩, 마윈(丁磊、陈天桥、郭广昌、冯耿生、马云)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강남회는 가입비의 문턱이 20만 위안이나 되고, 회원 심사 기간도 1년 정도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강남회는 강남협회 회원들과 재계, 학계의 유명 인사들이 모여있는 엘리트급 모임으로, 강남강당(江南讲堂)이 따로 개설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모임들은 중국 각 분야에 모두 존재하며, 그들은 서로 협력하여 대인 관계를 확대하고, 기업 발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회원 모두에게는 똑같이 한 장의 "강남령(江南令)"이 있는데요, 이 강남령은 단 한 번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어려운 일을 당했을 때 강남령을 사용하면 8명의 발기인(发起人)들이 어디든지 달려와 직접 도와준다고 합니다.

 

 

 

 

 

 

5. 대D회(大D会)

 

 

이러한 모임은 중국의 각계 각분야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업무 분야에서 서로 협력하여 다양한 인맥을 확장할 수 있으며, 이것은 커리어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됩니다. 홍콩에는 초호화 갑부들의 모임이 있는데요, 여기에 속해있는 사람들은 모두 초호화 갑부들이라고 합니다. 이 모임은 뒤에서 쉬자인(许家印)이 뒷바라지 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부동산 업계의 "따빠왕(大霸王)"이 되었다고도 합니다. 게다가 여기에 마윈까지 가입하게 되었지요. 이 모임의 이름은 매우 재미있는데, 바로 "대D회"입니다.

 

 

이것은 일종의 카드놀이이지만, 이것은 혼자 힘으로 상위를 다투는 게임이라고 합니다. 홍콩의 억만장자 정위통(郑裕彤)은 이러한 카드 놀이를 매우 즐겼고, 그의 'D각(D脚)' 카드 친구들로는 리우란슝, 양쇼우청, 장송챠오, 쉬자인(刘銮雄、杨受成、张松桥、许家印) 이렇게 거물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이 이런 카드게임을 하는 이유는 단순히 오락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모임을 만들어 함께 투자하고 합작하기 위한 것이 진정한 목적인 것이지요.

 

 

 

 

 

 

 

실제로, 2008년 헝다(恒大)의 상장 실패 이후, 자금줄이 끊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헝다가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대D회의 재정적 지원이 뒷받침 되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홍콩의 거물들의 중국 본토로의 대거 진출로 중국 본토에서 가장 많은 땅을 가진 부동산 개발 회사가 된 것도 자본 시장에서 그의 입지를 크게 흔들었습니다. 대D회가 헝다를 돕는 이유는, 쉬자인이 3개월 동안 정위통과 함께 카드게임을 했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이후 헝다의 홍콩 상장이 성사 되었고, 대D회 클럽 회원들은 헝다의 주주가 되었습니다. 그해 헝다 측은 완바오(万宝) 논란을 이용해 완커를 사들였는데, 이때도 대D회 클럽의 지원을 많이 받았다고 합니다. 당시의 시장 정보에 따르면, 완커는 바오넝(宝能)의 맹렬한 공격을 받았는데, 쉬자인은 본토의 주공(主攻)을 맡았고, 정씨 가족과 장송챠오는 완커 홍콩의 H종 주식(H股)을 맡았다고 합니다.

 

 

 

 

 

 

양측의 공격을 받은 완커는 대D회의 인수 보호 덕분에 헝다가 완커의 3대 주주가 되는데 성공하였다고 합니다. 결국, 선전(深圳) 정부에서 나서서 이들에게 주식을 반환하라고 요구하게 되었는데요, 비록 헝다도 완커 인수 과정에서 손해를 보았지만, 쉬자인은 개발 자원을 대거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2019년 송년회에서, 중국의 양대 부호인 마윈과 쉬자인이 모두 참석하였습니다. 마윈은 부자가 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 울타리를 중요시하고 있습니다.

 

 

 

 

 

정위통 사망 후, 리우란슝의 건강이 좋지 않자, 쉬자인이 대D회 클럽의 새로운 핵심 인물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실제로 재무적인 능력만 놓고 보면, 홍콩 부자들이 중국 부자들보다 더 부자일 수밖에 없다고 하네요. 중국의 부는 종이 위에 있지만, 홍콩의 부자들은 진짜 금, 백은 등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쉬자인이 이러한 클럽 안으로 들어갈 수 있었던 덕분에 오늘날의 헝다 그룹이 있었던 것이지요.

 

 

<참고기사>

https://mbd.baidu.com/newspage/data/landingsuper?context=%7B%22nid%22%3A%22news_9236453304376717583%22%7D&n_type=-1&p_from=-1

 

中国的5个富豪圈,马云都进不入的这一顶级圈,他靠“打牌”进了

文:缪禾 人脉无疑是商界最重要的因素。一旦有了危险,只要有了人脉,就可以摆平很多事情。在改革开放的这些年里,富人的数量也在增加。这些人为了能够有更好地发展,他们还会建立自己

mbd.baidu.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