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yuku
몽골군의 전투력이 강했던 이유는? 본문
안녕하세요 한어고입니다^^
원(元)나라는 몽골이 가장 크게 발달한 시기로, 영토가 아시아와 유럽대륙까지 뻗어나가 당시 많은 나라들을 공포에 떨게 했습니다. 역사를 연구하는 전문가들 사이에선 당시 몽골군이 이처럼 넓은 영토를 점령해 눈부신 전적을 거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며, 이는 몽골인들의 일상이 군사화된 생활습관과도 무관하지 않다고 보았습니다.
베이징대 역사학과 중국고대사교연실(中国古代史教研室) 주임 장판(张帆)과 중국사회과학원(中国社会科学院) 부연구원 리밍페이(李鸣飞)는 텅쉰서원(腾讯书院) 특강에서 몽골군이 왜 전투 능력이 강했는지 설명해주었습니다.
원나라의 창시자 칭기즈칸은 중국 역사상 가장 강력한 통치자로, 그의 일생에는 전기적 색채가 풍부합니다.
칭기즈칸은 어린 시절 부족과 다른 강자들에게 괴롭힘을 당했습니다. 원래 칭기즈칸도 초원 부락 귀족의 일원이었지만, 아버지가 일찍 세상을 뜨면서 칭기즈칸의 초년이 고달파졌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고난은 그의 강인한 인품을 키워주었습니다. 나중에 다른 부족의 강자와 지배권을 다툴 때나 다른 부족과 초원의 지배권을 다툴때 초원을 제패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초원의 백성들은 자신의 지도자에 대해 신과 같은 경외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진정한 초원 생활은 극도로 불안정한데요, 날씨가 변화무쌍하기 때문에 유목민들은 한 지역에서 오래 살지 못하고, 그들의 생활은 늘 하늘에 의지해 이리저리 떠돌며 먹고살았습니다. 부족의 지도자가 수원(水源)을 분별할 수 있다면, 그 부족의 유목민들은 지도자를 따라다니며 더 나은 삶을 살게되고 열악한 생활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당시 초원 부락간의 정글의 법칙이 격렬했던 상황에서 강자는 더 강하고, 약자는 더 약한 모습을 보이기 쉬웠을 것입니다. 또한 뛰어난 지도자는 점점 더 많은 유목민들의 추종을 받기 때문에 그 초원에는 거대한 제국이 순식간에 세워질 수 있습니다. 칭기즈칸은 이런 면에서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었고, 결국 초원을 지배하고 초원의 패자가 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후 칭기즈칸은 전통적인 초원부락 군대의 편제를 깨고 군대를 10단위의 다른 단원으로 편성했습니다. 몽골족 발전사에 새로운 군대 편성방법이 만들어진 것입니다. 이런 제도로 인해 몽골군의 효율적인 관리가 정점에 달했고, 병사 한 명 한 명이 모두 자신이 누구의 명령을 따라야 하는 지 정확히 알 수 있게 되면서, 나중에 몽골군대의 세계 제패를 위한 토대가 마련되었습니다.
이후 칭기즈칸은 천호제(千户制)를 사용하여 몽골제국의 사회를 안정시켰습니다. 점령한 땅을 끊임없이 수용하여 인구와 부를 얻고, 확장을 위한 병력을 제공하는 구조입니다. 그리고 <대찰살(大札撒)>이라는 율법을 제정하여 몽골 사회와 군대 통치를 규정하였습니다. 문자가 생겨나면서 이러한 법들이 전승되기 시작하였고, 이는 몽골 제국의 확장을 뒷받침해주었습니다.
몽골 제국의 확장에는 포용적 문화가 필요하고, 강력한 군대의 지지가 필요했습니다. 이러한 강함은 단병작전(单兵作战)뿐만 아니라 군대의 조직에서도 나타났습니다.
몽골군이 철제 발굽으로 서방국가를 점령하고 있을 때,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군사 강국이었던 헝가리 군대도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몽골 군사들이 유럽군과 교전을 벌인 끝에 거둔 모든 승리들은 결코 우연이 아니었습니다. 몽골군의 모든 병사들의 일상생활, 특히 잦은 수렵활동은 이미 훈련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었던 것입니다.
일상의 사냥은 모든 사냥꾼들이 전원을 총동원해 '일(一)'자형 진을 치고, 보이는 사냥감들을 이런 식으로 포위해가며 적절한 장소로 몰아내어 하나씩 사냥하는 형태였습니다. 사냥꾼들은 마지막에 사냥감을 하나 골라서 전시하는데, 이것은 자신의 사냥솜씨를 전시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장 교수는 "당시 몽골군의 이런 수렵활동은 몽골 군민(军民)의 생활에 매우 유익했습니다. 또 이런 수렵활동은 군사훈련으로, 군 전체의 합동작전 능력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당시 초원 주민들은 일상적인 노동에도 합리적 분업이 가능하고 규율이 엄격해서, 이익분배시에도 더 많이 일한자는 더 많이 갖는 원칙을 준수하여, 집단의 이익을 지키는 합리적 분배방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는 당시 초원 유목민족의 발전에 큰 의미가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밖에도, 몽골의 활과 화살, 말들이 뛰어났습니다. 그들의 활과 화살은 살상 범위가 200미터에 달해 갑옷을 쉽게 뚫을 수 있었습니다. 후퇴하면서도 후방을 향해 활을 쏠 수 있었기 때문에 만만치않은 군대였습니다. 게다가 하루 종일 100km를 달려갈 정도로 기동성이 뛰어나, 고대에는 무서운 속도로 행진하는 군대였습니다.
게다가, 몽골군이 출정할 때, 모든 장병들의 수행장비도 매우 가벼웠습니다. 모든 몽골군사들이 출정시, 전마(战马)를 여러 마리씩 데리고 다녔기 때문에 운반할 필요가 없어서 수송 부담이 줄어들었지요. 극도로 열악한 상황에서는 말의 피, 말고기로 식사하며 체력을 보충할 수도 있고, 말의 위장으로 음식을 끓이거나 식수를 휴대할 수도 있었습니다.
말은 기본적으로 몽골 장병들의 전장에서의 수요를 거의 다 해결했고, 휴대하기 불편하다는 단점도 없었습니다. 그래서 당시 몽골 기병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기병이었습니다. 이는 몽골군이 연전연승하던 중요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또, 몽골군의 작전은 적진을 신속하게 흩뜨린 뒤, 협업하여 각개격파하는 것이 보통이었습니다. 리밍페이 교수는 "이러한 작전으로 몽골군은 전선 정보 수집에 능한 정찰병들을 많이 양성했고, 정찰병들이 끊임없이 자신들에게 유리한 작전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전쟁이 발발할 때 만반의 준비를 할 수 있게 되었다."고 분석했습니다.
결국 이런 강력한 기병으로 몽골군은 헝가리, 심지어 다뉴브 강변까지 영토를 개척할 수 있었습니다. "물경천택, 적자생존(物竞天择,适者生存)"이라는 말이 있듯이 칭기즈칸은 분명한 궤도를 남겼고, 그의 후손들은 그 궤도를 따라 확장의 길을 계속 걸었습니다.
<참고기사>
'China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빌 게이츠와 워렌 버핏, 영국 여왕의 만찬 초청도 거절한 중국에서 존경받는 기업가 쭝칭허(宗庆后) (0) | 2020.09.04 |
---|---|
잘 알려지지 않은 장개석의 수양딸...어떻게 살았을까? (0) | 2020.09.03 |
중국의 담배 시장의 규모는? (0) | 2020.09.01 |
쩡즈웨이(曾志伟) 부인 영결식...논란의 이유는? (0) | 2020.08.31 |
제 2의 홍콩으로 지목되는 곳은? (0) | 2020.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