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yuku

2만 마리의 독사가 서식하고 있는 이 섬은 어디? 본문

China news

2만 마리의 독사가 서식하고 있는 이 섬은 어디?

hanyuku 2022. 5. 9. 08:00

 

안녕하세요 한어고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사도(蛇岛)가 많이 있다고 하는데요, 중국에서 비교적 유명한 곳은 루구후 사도, 다롄 사도, 첸다오후 사도, 난완수이쿠 사도 및 셴뉘후 사도(泸沽湖蛇岛、大连蛇岛、千岛湖蛇岛、南湾水库蛇岛以及仙女湖蛇岛) 등이 있는데요, 모두 뱀의 이름을 딴 섬이라고 합니다. 섬에 주로 있는 동물들은 대부분 뱀인데, 독성이 강한 뱀들이라고 하네요. 아래의 사진은 다롄 사도의 전경인데, 1.2㎢의 작은 섬에 무려 2만 마리의 독사들이 살고 있다고 합니다.

 

 

 

 

 

다롄 사도

 

 

뤼순커우구(旅顺口区) 북서쪽 보하이만(渤海湾)에는 섬이 많은데요, 그 중에서도 동쪽에서 서쪽까지 1500m, 남쪽에서 북쪽까지는 800m 길이의 한 작은 섬이 가장 유명하다고 합니다. 이 섬에는 유일무이한 뱀종류인 까치 살모사 근연종(黑眉蝮蛇)이 살고 있는데, 이 살모사 종은 세계 다른 어디에도 없기 때문에 보호할 가치가 있다고 합니다.

 

 

 

 

 

수천만 년 전만 해도 사도는 섬이 아니었고, 섬에도 뱀만 있었던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 시기에는 보하이와 황하이가 모두 이어진 평야였었지만, 조산운동으로 지형이 변하여 많은 바닷물이 보하이와 황하이 일부 지역에 들어차게 되었습니다. 결국 산둥성과 랴오닝성이 바다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되었고, 그 사이에 작은 섬이 하나 생겨나게 되었는데, 다롄 사도가 바로 이렇게 만들어지게 된 것입니다. 섬의 면적이 좁고 복잡하여 완전한 먹이망을 형성하기 어려웠고, 많은 동물들이 멸종하여 충분한 먹이 자원이 없었습니다. 결국 다롄 사도에는 굶주림을 견디는데 강한 살모사와 정기적으로 이 섬에 정박하는 바닷새만 남게 되었죠.

 

 

사도에 생존하고 있는 살모사들은 먹이 자원이 적다는 것 외에도 여러가지 조건이 좋은 편이라고 합니다. 뱀은 겨울철에 동면을 해야하는데, 섬의 수많은 바위 틈에 숨어서 겨울잠을 자면서 천적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 그 외에도 사도에 살고 있는 동물의 종류가 적기 때문에 위협이 거의 없으며, 각종 맹금류들의 위협도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사도에서 살모사가 당면한 유일한 문제는 먹을 것을 찾기 전까지 충분한 배고픔을 이겨내는 것 뿐이라고 하네요.

 

 

 

 

 

천적이 부족한 데다가, 뱀들의 번식력이 강해서 면적이 1㎢ 가량 되는 섬 안에 독사 2만여 마리가 살게 되었습니다. 게다가 이 숫자는 다롄 사도의 환경이 감당할 수 있는 한계치도 아니기 때문에, 만약 인간의 불법 밀렵이나 화재와 같은 자연재해 등이 없었다면 훨씬 더 많았을 것이라고 합니다.

 

 

살모사의 독성은 갈수록 강해진다

 

 

인류는 뱀을 두려워하고, 1미터도 채 안 되는 길이의 작은 풀뱀을 상대하더라도 등줄기가 오싹해지는데요. 이는 선조들이 물려준 '위험회피 매커니즘' 때문으로, 두려움을 느껴야만 목숨을 안전하게 보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특히 먼 옛날 우리 선조들은 뱀에게 물렸을 때 해독제가 여의치 않았을 것이기 때문에 이렇게 뱀을 만났을 때 두려움을 느끼는 공포함이 유전자에 각인되게 된 것이죠.

 

 

 

 

 

전 세계에 분포하는 3천여 종의 뱀들은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생태 자우너으로, 뱀은 1억여 년 전 지구상에 최초로 출현한 뒤, 진화하면서 팔다리를 퇴화시키고 구불구불 기어가는 모습 만으로도 사람들에겐 섬뜩해보입니다. 이러한 뱀 종류 중 사람들에게 유독한 뱀은 약 400~500종이 있다고 합니다.

 

 

다롄 사도는 세계 어디에도 없는 독사 살모사로, 기나긴 지리적 격리 속에서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좁은 섬에 2만 마리의 살모사들이 있으니, 설치류는 자연스럽게 먹이로 부족할 수 밖에 없고, 먹이감이 되는 것은 바로 특정 시기에 찾아오는 바다새들이라고 합니다.

 

 

이 살모사들이 체력을 아끼기 위해 매일 가장 많이 하는 일은 바로 나무에 엎드려 쉬고 자는 일이라고 합니다. 바다새들은 날 수 있기 때문에 살모사의 독성이 강하지 않으면 바다새를 먹이로 삼아 배를 채울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매우 강한 독을 한번에 방출하여 바다새를 빨리 죽여야만 한 씨를 배불리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죠.

 

 

 

 

 

이것은 진화 측면에서도 이해할 수 있는 점인데요, 결국 독성이 강한 살모사일수록 섬에서 더 잘 살아남을 수 있고, 뱀독에 대한 저항력이 강한 바다새일수록 더 쉽게 뱀의 입에서 탈출할 수 있을 것이빈다. 그래서 이러한 접전 사이에서 살모사의 독성은 점점 더 강해지고 있다고 하네요.

 

 

매년 여름과 가을철 철새들이 이동해서 잠시 머무는 동안에만 먹이를 구할 수 있고, 육체적인 측면에서 살모사는 겨울은 물론 여름에도 잠을 자야 하는 것도 이유입니다.

 

 

독사도 보호가 필요하다

 

 

1980년, 중국은 국가 차원에서 랴오닝성 사도 라오톄산 국가급 자연보호구역(老铁山国家级自然保护区)을 만들었습니다. 이는 주로 사도에 서식하는 독사인 살모사를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러려면 새의 서식지를 더 잘 보호해야 하는데요, 새의 서식지가 없어지면 바다새도 정기적으로 머물지 않을 것이고, 살모사는 자연스럽게 먹이감이 없어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면적이 1㎢ 정도밖에 안 되는 작은 섬에서 무엇을 먹을 수 있을까요? 바다로 들어가서 해산물이라도 잡아먹을 수 있을까요?

 

 

 

 

 

다롄 사도에서도 이들 독사들은 수많은 위협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우선, 인간에서 비롯된 위협이 있는데요, 특히 지난 세기 초에는 살모사가 약용 가치가 있다고 여겨져서 불법으로 포획하여 술을 담그고 파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예를 들어, 1937년에 일본인들은 사도에서 살모사 7000여 마리를 사냥하여 대만으로 보내 뱀술로 만들어 팔았습니다.

 

 

이 밖에도 산불과 산사태 등 자연재해로도 살모사들이 줄어들 수 있는데요, 기록에 따르면 다롄 살모사는 최소 1만 마리를 넘지 않을 정도로 줄어들었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극심한 가뭄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뱀을 지키는 사람들의 보호 덕분에 이제는 차츰 2만 마리 이상으로 조금씩 회복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들은 살모사가 먹이를 오랫동안 먹지 않아도 괜찮지만, 물을 마시지 않으면 안 되는 점을 고려하여, 오랫동안 비가 내리지 않으면 인공으로 담수를 섬으로 운반해준다고 합니다.

 

 

 

 

 

사도에서 살모사는 천적이 없어서 천성이 온순하고, 사람을 먼저 다치게 하지 않는다고 하네요. 주로 새를 먹이로 삼기 때문에 새의 날카로운 부리에 입안이 긁혀서 염증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살모사 지키미들은 맨손으로 뱀의 입을 벌려 약을 발라줘야 사도의 살모사들을 치료할 수 있지만, 이러한 행위는 오히려 인간에겐 위험한 일이죠.

 

 

맺음말

 

 

다롄 사도는 비록 독사가 많이 서식하고 있는 곳이지만, 인간의 보호가 필요한 섬입니다. 작은 면적의 섬에는 생태계가 취약하여 큰 충격에 견디기가 어렵고, 생존 환경이 파괴되면 2만여 마리의 독사가 멸종 위기에 처해버리기 때문에 보호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참고기사>

20000条毒蛇在大连蛇岛上肆虐,毒性越来越强,但仍需要人类保护 (baidu.com)

 

20000条毒蛇在大连蛇岛上肆虐,毒性越来越强,但仍需要人类保护

全球范围内蛇岛众多,在我国比较著名的有泸沽湖蛇岛、大连蛇岛、千岛湖蛇岛、南湾水库蛇岛以及仙女湖蛇岛等,顾名思义凡是以蛇来命名的岛屿,主要都是因为岛上的动物大部分都是蛇类,

mbd.baidu.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