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yuku
오늘날 중국 농촌 지역 구멍가게는? 본문
안녕하세요 한어고입니다^^
최근 몇 년간 중국에서는 정부와 국민들의 노력으로 농촌과 도시의 격차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고 합니다.
이 같은 변화는 농촌 인구 뿐만 아니라, 중국의 전반적인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우선, 중국의 농촌 지역은 경제 발전 수준이 너무 낙후되었고, 각종 인프라가 부실한데, 이는 부득이하게 정부에서 농민들을 보조하고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정책들을 만들게 되었고, 국가적으로 재정 지출에 많은 부담을 더하게 되었습니다.
둘째로, 중국의 도시 발전 수준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지만, 중국의 농촌 지역의 발전 수준이야말로, 중국에서는 사회주의 강국으로 진입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보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농촌 지역의 경제 수준 향상은 국가의 발전에 이로우며, 이것은 최근 몇 년간 중국의 농촌 지역을 위한 정책들이 만들어지게 된 이유입니다.
농촌 지역의 구멍가게는 십여 년의 세월을 거쳤지만,
현대 사회에서도 도태되지 않았다
농촌의 경제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농촌 인구의 삶의 질도 점차 향상되었습니다. 현재 집집마다 작은 별장과 아파트들이 들어서고, 자가용도 모두 구입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현재 농촌 인구의 생활 수준은 도시 지역과 비교하여 크게 나쁘지 않다고 합니다. 이 밖에도 농촌의 각종 산업도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전에 많은 사람들이 농촌에 대해 많은 편견을 가지고 있었던 것은 한편으로는, 농촌의 경제 수준이 비교적 낮았기 때문이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농촌의 인프라가 좋지 않았으며, 각 항목의 산업들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농촌 지역에서 도시 지역의 편리한 서비스 들을 누리기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농촌에서 서비스업이 급속도로 발전하여 농민들의 생활도 점점 편리해지고 있습니다.
농촌 지역의 구멍가게들도 모두 호화로운 대형 마트로 변모했고, 상품의 종류들도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의 농촌 지역에서 구멍가게들은 특별한 지위를 가지고 있는 것 같다고 합니다. 수십 년 전까지만 해도 농촌 경제가 발달하지 않았을 때에도 동네마다 한 두곳의 구멍가게들이 있었는데, 규모도 크지 않고 상품 종류도 다양하지 않았으며, 판매하는 상품들도 대부분 아이들의 군것질거리나 장난감, 일용품들이었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농촌지역에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시대가 발전하면서, 구멍가게들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기는커녕, 인터넷 쇼핑몰로 대체되면서 농촌지역에서 오히려 그 규모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고 합니다.
농촌 지역의 구멍가게에서는 아직 인정이 오고간다
또한 농촌 지역의 구멍가게와 도시 지역의 가게들이나 슈퍼마켓은 매우 다릅니다. 왜냐하면 구멍가게들은 대부분 동네에서 부유한 사람들이 가게를 운영하는데, 농촌 지역은 인정이 많은 작은 사회이기 때문입니다. 이때문에 농촌 지역 구멍가게에서 장사를 하다보면 인정이 오고가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비록 농촌 사람들이 일부러 편의를 봐주거나 하는 것은 아니지만, 어쨌든 한 마을에서 여러 해 동안 생활한 친척들이고, 여러 해 동안 이어온 깊은 친구들입니다. 우정은 거짓일 수 없으므로, 인정이 오고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지요. 반면, 도시 지역 슈퍼마켓이나 상점들은 철저히 이익을 따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농촌 지역에서 구멍가게들은 그 입지나 경영 방식이 많이 다르다고 합니다.
그래서 농촌 지역의 작은 구멍가게들은 보통 외상을 묵인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이러한 방식이 길어지면, 비록 마진이 줄어들어서 원가도 못 남길 수도 있고, 손해를 볼 수도 있지만, 농촌 지역은 예로부터 인정과 처세술이 중요시되어 왔기 때문에 많은 농촌 지역 구멍가게들은 외상을 주고싶지 않아도 같은 동네 사람들이 외상을 달라고 하면 거절하기도 어려웠다고 합니다.
또한 농촌 구멍가게들에는 대부분 마을 사람들이 고객이므로, 장사를 하려면 마을 주민들의 배려가 있어야 합니다. 만약 외상 문제로 마을 주민들과 얼굴을 붉히고 갈등이 생긴다면 안좋은 입소문을 타게 될 가능성이 크지요. 이럴 때, 또 다른 사람이 구멍가게 경쟁에 뛰어들게 된다면 고객들을 잃을 가능성이 큽니다.
게다가 농촌 지역에는 집집마다 친인척들이 있고, 한 사람과 갈등을 빚으면 구멍가게에 대한 불만, 배척, 심지어 구멍가게의 정상적인 경영 질서 등을 고의로 방해하는 행위까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구멍가게 주인들이 어쩔 수 없이 외상 거래를 허락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외상을 주기는 쉬우나 빚을 독촉하기는 어렵다
외상을 주기는 쉽지만 빚을 독촉하기는 어려운 것이 아마도 많은 구멍가게 주인들의 실제 모습일 것입니다. 왜냐하면 구멍가게의 이윤이 그리 높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외상값을 제때 받지 못하면, 구멍가게의 경영 위기에 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가게 주인들은 어쩔 수 없이 외상값을 갚지 않은 마을 사람들에게 직접 돈을 받으러 다니며 돈을 구걸해야 합니다. 하지만, 빚 독촉이 쉽지 않아서, 돈 얘기를 꺼내면 쌍방의 관계가 갑자기 냉랭해지게 되지요.
어떻게 하면 돈을 받아낼 수 있을지, 그리고 외상을 한 사람과의 관계를 계속 유지할 수 있을지, 이러한 문제로 많은 구멍가게 주인들은 계속 한 동네에서 살아야 하나 고뇌에 빠지게 될 수 있습니다. 운이 좋으면 빚쟁이에게 몇 마디 농담으로 돈을 돌려받을 수도 있고, 운이 나쁘면 돈을 돌려받지 못할 뿐만 아니라 빚쟁이에게 욕설을 듣고, 심지어는 주먹다짐을 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구멍가게 주인들은 여러 차례 외상값을 독촉한 뒤, 결국은 돈을 받아내곤 합니다. 이러한 구멍가게 주인들은 연말이야말로 외상값을 독촉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기간이라고 여기는데, 곧 설이 다가오기 때문에 사람들은 1년 동안의 수입을 모두 받아서 가지고 있고, 경제적으로 여건이 그리 빠듯하지 않은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설을 맞아 모두들 기분이 좋고, 또한 기분 좋은 설을 보내고 싶어하기 때문에 이때 돈을 받으러 가면 보통은 좋은 얼굴로 대하며 돈을 갚지 않는 사람이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오랫동안 이런 식으로 계속 가게를 운영하는 것도 방법은 아니지요. 결국 정상적으로 경영하면서도 남에게 빚지는 것도 없는데, 돈을 벌면서 남의 눈치를 봐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가게 문에 '외상 일절 사절'이란 딱지를 붙여놓고 아무에게도 외상을 허용하지 않는 가게도 많다고 합니다. 일부에선 비난을 받을만도 하지만, 가게 주인들은 워낙 이윤이 많지 않은데, 한 사람에게 외상을 주면 다른 사람들에게도 외상을 줘야 하고, 그러면 가게의 돈이 돌지 않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리 이러한 규칙을 세워놓으면 마을 사람들이 처음엔 화젯거리로 입방아를 찧더라도 나중엔 점차 지나가고 천천히 받아들이게 된다고 합니다.
이밖에도 농촌의 양곡점, 농자재점에서도 외상은 일절 취급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밝히고 있습니다. 어차피 양측이 매일 돈 문제로 옥신각신 하는 것보다는 아예 외상을 하지 않는 것이 좋지요. 이렇게 보면, 미리 규칙을 잘 세워 놓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입니다.
<참고기사>
百度
mbd.baidu.com
'China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자본의 4대 최고 재벌 그룹들의 놀라운 배경?! (0) | 2021.04.19 |
---|---|
중국인들이 오프라인에서 위챗페이로 결제하는 것을 좋아하는 이유는? (0) | 2021.04.16 |
고대 중국에서 전쟁을 가장 잘한 황제들은 누구? (0) | 2021.04.13 |
젊은 시절 모택동 주석의 경호원으로 일하고, 말년에는 고향의 건설에 힘쓴 이연경(李连庆)의 인생 스토리 (0) | 2021.04.12 |
중국의 왕훙 파오파오룽(泡泡龙), 향년 29세로 별세...그가 세상에 남긴 것은? (0) | 2021.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