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yuku
중국의 차(茶)문화 이야기 #7 - 중국식 차 예절과 중국 10대 명차 본문
안녕하세요, 한어고입니다^^
오늘은 중국의 차 문화 이야기 시리즈의 마지막편으로 중국식 차 예절과 중국의 10대 명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통적으로 중국에서 공부차를 마실때는 보통 컵을 세 개를 사용하는데, 이는 손님이 아무리 많아도 같다고 합니다. 차를 마실 때에는 손님의 눈높이에 맞춰 세 개의 찻잔을 '자 모양으로 차려야 합니다. 첫 잔은 왼쪽의 첫 손님에게 꼭 먼저 드리되, 신분의 존비와 나이, 성별을 구분하지 않습니다. 한 잔의 차를 다 마실때마다 뜨거운 물로 찻잔을 한 번 씻은 다음, 열기를 가진 컵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풍습은 사람들이 단결과 우애, 그리고 서로 양보하는 훌륭한 덕목을 나타내기 위해 행해졌다고 합니다.
차를 음미할때는 먼저 향을 맡고, 그 다음에는 차의 색깔을 보며, 마지막에는 맛을 음미합니다. 차 한 잔은 반드시 세 모금으로 나누어 마셔야 합니다. 혀 끝에서 목구멍으로 향이 퍼져나가다가 마지막에 위장으로 넘어가니 시원하고도 충만한 느낌입니다.(芳香溢齿颊,甘泽润喉咙,神明凌霄汉) 이것을 바로 공부차의 3개 경계라고도 합니다.
일본의 다도나 대만 지역의 다도 등은 모두 중국 광동성 차오저우에서 기원하고 있다고 합니다.
https://haokan.baidu.com/v?vid=9050183789821923000&pd=bjh&fr=bjhauthor&type=video
工夫茶二十一式(教学版)高清
11
haokan.baidu.com
<공부차 다도 순서>
1. 다기를 준비한다(备器)
2. 불을 올린다(生火)
3. 손을 깨끗이 씻는다(净手)
4. 불씨를 살린다(侯火)
5. 주전자에 뜨거운 물을 부어 덥힌다(温壶)
6. 찻잔에 뜨거운 물을 부어 씻고 덥힌다(洗杯)
7. 찻잎을 적당량 덜어낸다(倾茶)
8. 찻잎을 열기로 덥힌다(炙茶)
9. 다호 안에 찻잎을 넣는다(纳茶)
10. 주전자를 높이 하여 물을 붓는다(高注)
11. 찻잎이 물에 불도록 한다(润茶)
12. 뚜껑을 닫으며 표면의 거품을 제거한다(刮沫)
13. 첫번째 우린 차는 찻잎을 씻어낸다는 개념이므로 버립니다.
14. 다호 안에 다시 뜨거운 물을 붓는다(冲注)
15. 찻잔에 다시 뜨거운 물을 부어 씻고 덥힌다(滚杯)
16. 다호 표면의 불순물과 물기를 닦아내고 차를 따른다(洒茶)
17. 마지막 찻물 방울을 골고루 첨한다(点茶)
18. 공경하는 마음으로 상대방에게 차를 권한다(请茶)
19. 향을 음미한다(闻香)
20. 세 모금으로 나누어 마시며 맛을 음미한다(啜味)
21. 세 번 향기의 조화로움을 음미한다(审韵)
22. 손님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전한다(谢宾)
차를 사랑하며 수천가지의 차가 생산되고, 생활 필수품으로 여겨질 만큼 차를 많이 마시는 중국에서도 이름난 중국 10대 명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서호용정(西湖龙井): 항저우에서 생산되는 이 차는 중국 10대 명차 브랜드의 으뜸으로 여겨집니다. 항저우는 중국의 7대 고도(古都)중 하나이며,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인 자연의 장벽에 있는 독특한 기후로, 예로부터 걸출한 문인들이 배출된 곳입니다. 송대 시인 소동파는 서호를 서자에 비교하려 하니 가인같다는 찬사를 보냈습니다. 용정차 가공법은 '抓、抖、搭、拓、捺、推、扣、甩、磨、压' 등 10대 기법을 독특하게 구사합니다. 특급 용정차는 편평하고 매끄럽고 꼿꼿하며, 빛깔과 광택이 부드럽고 향이 신선하며, 맛이 신선하고 감미롭고, 잎 밑이 부드럽고 봉긋합니다. 서호용정차는 차의 색깔, 향, 맛, 형체를 한데 모을 뿐만 아니라 명산, 명사, 명호, 명천, 명차가 한데 어우러져 세상에서 보기 드문 독특하고 자랑스러운 용정문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2. 동정벽라춘: 벽라춘은 장쑤성 쑤저우시 태호 동정산에서 생산되며, 동정은 동쪽과 서쪽의 두 산으로 나뉘고, 동동정산은 거대한 배와 같이 생겼습니다. 두 산의 기후는 온화하고 연평균 기온 15.5~16.5°C이며, 연간 강우량은 1200~1500mm입니다. 태호의 수면에서 물기가 솟아오르고 안개가 끼고 공기가 촉촉하며 토양이 약산성 또는 산성입니다. 게다가 토질이 느슨하여 차나무가 자라기에 매우 적합한 곳이라고 합니다.
3. 황산모봉(黄山毛峰): 황산모봉은 녹차홍청(绿茶烘青)류에 속하는 청나라 명차입니다. 안휘성 황산에서 생산되는 이 차는 색깔이 상아색 같으며 떡잎은 금황색을 띠는데 향이 맑고 은은하며 오래 지속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탕색은 맑고, 맛은 신선하고 농후하며 순하면서도 두터운데, 차를 우려낸 다음의 찻잎도 엷은 황색에 도톰하여 마치 꽃봉오리같은 형상입니다.
4. 안계철관음(安溪铁观音): 흥심관음, 홍종관음 등으로도 불리는 철관음은 차 이름이자 차나무 품종 이름이기도 합니다. 천성이 가냘프고, 항역성이 약하며, 생산량이 낮습니다. 중국 우롱차에서 파생된 차로서, 높은 향기가 있고 차맛이 단데, 마신 후에는 입안에 과일의 향기가 남아도는 특징이 있습니다. 탕색은 선명한 동황색이고 잎은 두텁습니다. 철관음은 다 자란 잎으로 만드는데, 만들어진 찻잎은 가운데는 푸르고 가장자리는 붉은 빛을 띠며, 여러번 우려내어도 향기와 맛이 변하지 않습니다. 철관음은 대만, 광동, 홍콩, 동남아 지역의 화교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차 입니다.
5. 무이 대홍(武夷大红): 대홍 혹은 대홍포라고도 불리는데, 이 차는 '차 중의 장원'이라는 명성을 가지고 있으며, 절벽에서 자라는 차나무에서 채취한 것으로 생산량이 적고 귀하여 매우 비싼 값에 팔리는 차입니다.
6. 백호은침(白毫银针): 푸젠성 북동부에서 생산되는 백차의 대표적인 이 차는 철관음과 함께 푸젠성의 대표적인 차입니다. 생김새가 그 이름처럼 하얀 솜털이 송송하여 은빛 바늘과 같이 뾰족하다고 해서 붙은 이름입니다. 특별한 가공없이 약간의 발효만 시켜서 건조를 하므로 오래 보관하여도 맛과 향의 변화가 적고, 운남에서 온 대백 차나무에서 윗부분의 싹만으로 생산하기 때문에 백차 중에서도 가장 비싸고 가장 값지다고 합니다.
7. 군산은침(君山银针): 군산은침은 호남 악양 동정호 속의 군산에서 나는데, 황차에서 으뜸가는 명차입니다. 군산은침은 싹이 튼실하고 길이와 크기가 고르며, 차 싹의 속살이 황금빛을 띠고 겉은 솜털이 잘 드러나고, 겉이 단단하여 은침처럼 생겼습니다. 당나라 때부터 차를 생산한 것으로 유명한 군산의 명차입니다.
8. 동정오룡(冻顶乌龙): 타이완의 동정산에서 생산되는 차로, 우이 산에서 나는 무이암차, 푸젠성 안계의 철관음, 광둥성의 봉황단총과 함께 대표적인 우롱차로 꼽히고 있습니다. 약발효를 시켰기 때문에 은은한 꽃향기가 나며, 향기가 진하고, 강렬하며, 중후한 맛이 납니다. 외관은 찻잎은 진록색이면서 회백색의 반점이 섞여있고 둥글게 잘 뭉쳐져 있습니다.
9. 기문홍차(祁门红茶): 황산모봉과 함께 안휘성의 대표적인 차 중의 하나로 홍차에 속하며, 다즐링, 우바와 함께 세계 3대 홍차로 알려져 있습니다. 맛이 부드러우며, 와인향과 약간의 훈연향을 느낄 수 있는데, 어떤 사람들은 과일향과 난초향이 난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찻물은 밝은 오렌지 빛깔을 내며, 기문 홍차는 카페인 함유량이 다른 홍차들보다 적습니다.
10. 운남보이차(云南普洱茶): 보이차는 운남성 보이현에서 유래한 이름인데, 보이현은 찻잎을 생산하지 않고 운남 남부지역의 중요한 차 무역 집산지입니다. 보이차는 숙성시키는 작업, 즉 후발효를 거쳐야 참 맛을 느낄 수 있는 특징이 있는데, 흑차의 한 종류에 속합니다. 옛날에는 보이차를 약으로 이용하였었고, 보이차는 높은 향기가 오랫동안 지속되는데 그 향기는 운남성 장뇌나무와 대엽종이 섞여 만들어진 특이한 향기라고 합니다. 진하고 감칠맛이 나며, 여러번 우려내도 처음의 맛과 향기가 변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참고자료>
중국의 십대 명차
명차가 되기 위해서는 몇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우선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야 하고, 사회적으로 진귀하게 ...
blog.naver.com
https://ko.wikipedia.org/wiki/%EB%8F%99%EC%A0%95%EC%98%A4%EB%A3%A1
동정오룡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정오룡종류우롱차, 청차원산지타이완특징약발효 동정오룡(凍頂烏龍)은 타이완의 동정산에서 생산되는 차로, 우이 산에서 나는 무이암차, 푸젠 성 안계의 철관음, 광둥 성의 봉황단종과 함께 대표적인 우롱차로 꼽히고 있다. 타이완의 동정산(凍頂山)은 봉황산의 지맥 중의 하나로, 해발 700m 이상이며, 월평균 기온 20도 이상의 고온이다. 이곳은 날씨가 따듯함에도 불구하고 안개가 많고, 비가 자주 내리고, 산세가 가파르기 때문에,
ko.wikipedia.org
'Chinese Foo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숙취해소에 좋은 이것은? - 집집 마다 있는데 간에도 좋은 00! (0) | 2020.02.17 |
---|---|
중국 고량주 마오타이주 짝퉁 구별법 (0) | 2020.02.04 |
중국의 차(茶)문화 이야기 #5 - 흑차 (0) | 2020.01.24 |
중국의 차(茶)문화 이야기 #4 - 백차&황차 (0) | 2020.01.23 |
중국의 차(茶)문화 이야기 #3 - 우롱차 (0) | 2020.01.20 |